본문 바로가기
생활꿀팁&리뷰

산불대피요령 및 산불기부 방법

by 다라미의 생활정보 2025. 3. 31.

최근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인해 전국 각지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며, 역대 최악의 산불 피해를 기록하고 있습니다. 특히 3 하순 경상남도 산청군을 시작으로 경상북도, 울산 등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안동, 청송, 양양, 영덕 등지로 번졌습니다. 이러한 산불로 인해 수많은 산림과 주택이 피해를 입었으며, 인명 피해도 발생하였습니다.

 

산불 예방 및 대응: 안전 수칙과 대피 요령

최근 전국적으로 대형 산불이 발생하며 많은 피해가 보고되고 있습니다. 한순간의 부주의가 큰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, 산불 예방과 대응 방법을 철저히 숙지해야 합니다.

산불의 주요 원인

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산불의 70% 이상이 사람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합니다. 특히, 건조한 봄철과 가을철에는 작은 불씨도 대형 산불로 번질 위험이 큽니다.

산불의 주요 발생 원인

  • 입산자의 부주의: 담배꽁초 무단 투기, 허가되지 않은 지역에서의 취사 및 모닥불 사용
  • 논·밭두렁 및 쓰레기 소각: 잘못된 불씨 관리로 인해 산불로 번질 위험이 큼
  • 전기 설비 및 기계 사용 중 화재: 노후된 전선, 공사 현장의 용접 작업 등에서 화재 발생
  • 캠핑 및 야외활동: 불완전 연소된 숯, 모닥불 잔여 불씨 등이 바람을 타고 확산

산불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

  • 산림 내 화기, 인화물질 반입 금지: 라이터, 버너 등 화기 사용을 금지합니다.
  • 입산 시 지정된 등산로 이용: 불법 입산은 산불 위험을 높이므로 반드시 허가된 등산로를 이용해야 합니다.
  • 논·밭두렁 및 쓰레기 소각 금지: 불씨 하나로 대형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야외에서 불씨 완전 소화: 캠핑 후 불씨를 완전히 제거하고 철저히 확인합니다.
  • 산불 위험 지역 출입 자제: 산불 경보가 발령된 지역은 출입을 삼가야 합니다.

산불 발생 시 대응 요령

1. 신속한 신고

산불을 발견하면 즉시 119, 산림청(1588-3249), 경찰서(112)로 신고하세요.

2. 작은 불씨 진화

초기 작은 불씨는 외투나 물을 이용해 진화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불길이 강하면 즉시 대피해야 합니다.

3. 대피 요령

  • 산불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
  • 산림이 아닌 논, 밭, 도로, 바위 등 안전한 공간으로 대피
  • 연기에 질식되지 않도록 낮은 자세로 이동
  • 불길이 접근할 경우 주변 낙엽 제거 후 엎드려 보호

'산불방지 국민행동 요령 - 평소엔 이렇게 대비합니다'(이미지=산림청 제공)

산불 발생 후 주택 보호 방법

  • 주택 주변 낙엽, 나뭇가지 등 인화물 제거
  • 지붕과 벽이 불에 강한 재질인지 점검 및 보강
  • 소화기, 물통 등을 미리 준비
  • 가스통 및 인화성 물질은 안전한 거리로 이동

산불 피해 지역 지원 및 기부 안내

산불 피해를 입은 지역을 돕기 위한 기부가 가능합니다. 아래 지역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.

  • 울산 울주군
  • 경북 의성군
  • 경남 산청군
  • 경남 하동군
  • 경북 안동시
  • 경북 청송군
  • 경북 영양군
  • 경북 영덕군

기부 방법:

  • 온라인: 고향사랑e음 및 민간 플랫폼 (국민·기업·신한·하나은행, 위기브, 액티부키)
  • 오프라인: 농협은행 및 농축협은행 전국 지점

산불 예방을 위한 실천이 중요합니다

작은 실천이 큰 재난을 막을 수 있습니다. 산불 예방 수칙을 숙지하고, 주변에도 널리 알려주세요!